(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티스토리 뷰

목차



    1987 네이버영화
    1987 네이버영화
    1987 네이버영화
    1987 네이버영화
    1987 네이버영화1987 네이버영화
    1987 네이버영화1987 네이버영화1987 네이버영화
    1987 네이버영화

    항목 내용
    장르 드라마
    상영 시간 129분
    개봉일 2017년 12월 27일
    수상 경력 디렉터스 컷 어워즈(올해의 감독상, 각본상, 특별언급),
    황금촬영상(최우수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청룡영화상(최우수 작품상, 남우주연상, 촬영조명상),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최우수 작품상, 음악상),
    파리한국영화제(장편영화상),
    대종상(감독상, 기획상),
    부일영화상(촬영상),
    제천국제음악영화제(JIMFF OST),
    백상예술대상(영화 대상, 시나리오상, 남자최우수연기상, 남자조연상),
    우디네 극동영화제(골든 멀버리상, 블랙 드래곤 관객상),
    마리끌레르 영화제(특별상)
    주연(배역명) 김윤석(박처원), 하정우(최환), 유해진(한병용),
    김태리(연희), 박희순(조반장)
    조연(배역명) 이희준(윤기자), 강동원(이한열), 설경구(김정남), 여진구(박종철)
    김의성(교도관), 우현(형사), 유승목(유과장), 현봉식(박계장)
    박지환(황경위), 이용직(반경장), 박지홍(강경사), 문성근(안기부장)
    오달수(중앙일보 사회부), 고창성(동아일보 사회부), 김의성(이부영)
    김종수(박종철 부), 우현(강본부장), 조우진(박종철삼촌)
    임철형(정보국장), 이창훈(표검사), 서현우(이검사)
    관객수 7,230,000명
    제작비 145억 원
    손익분기점 410만 명

    영화 설명

    1987은 1987년 대한민국 현대사의 분수령이 된 6월 민주항쟁의 기폭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중심으로 전개했습니다. 장준환 감독이 연출을 맡았으며, 실존 인물과 허구적 캐릭터를 조화롭게 배치해 당시의 긴박한 사회 분위기와 진실을 밝히려는 다양한 인물들의 용기를 그렸습니다. 화려한 캐스팅과 사실적인 연출, 그리고 시대를 관통하는 메시지로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했습니다. 이 영화는 단순한 역사 재현을 넘어, 오늘날에도 유효한 민주주의와 정의의 가치를 되새기게 했습니다.

    줄거리

    1987년 1월, 경찰 조사를 받던 스물두 살 대학생 박종철이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고문 끝에 사망했습니다. 경찰은 사건을 은폐하기 위해 시신을 부검 없이 화장하려 했으나, 당직 검사 최환이 이를 거부하고 부검을 강행했습니다. 경찰은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거짓 발표로 사건을 축소하려 했지만, 부검 결과와 현장 증거는 고문에 의한 사망임을 명확히 했습니다. 기자 윤기자는 ‘물고문 도중 질식사’로 보도하며 진실을 세상에 알렸습니다. 경찰은 형사 둘만 구속시키며 사건을 축소하려 했으나, 교도관 한병용은 교도소에 수감된 조반장을 통해 사건의 진상을 알게 됐고, 조카 연희를 통해 수배 중인 재야인사에게 이 사실을 전달했습니다. 연희는 평범한 대학생이었으나, 삼촌의 부탁으로 위험한 임무를 맡으며 점차 민주화 운동에 동참하게 됐습니다. 한편, 이한열 등 학생들은 거리에서 시위를 이어갔고, 이한열은 시위 도중 최루탄에 맞아 사망했습니다. 이 사건은 국민적 분노를 불러일으켰고, 결국 6월 민주항쟁으로 이어져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이끌어냈습니다. 영화는 한 명의 영웅이 아닌, 각자의 자리에서 진실을 위해 싸운 수많은 작은 영웅들의 용기와 연대, 그리고 그들이 만들어낸 변화의 역사를 감동적으로 그렸습니다.

    영화의 사실적 연출과 시대 재현

    1987은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한 치밀한 고증과 사실적인 연출로 관객을 1980년대 후반의 대한민국으로 이끌었습니다. 남영동 대공분실, 거리 시위, 신문사 등 주요 공간을 세밀하게 재현했으며, 인물들의 복장과 소품, 시대적 언어까지 세심하게 구현했습니다. 장준환 감독은 다큐멘터리에 가까운 리얼리티와 극적 긴장감을 동시에 살렸습니다. 특히, 실제 인물과 허구 인물의 조화를 통해 당시 사회의 다양한 목소리와 갈등, 그리고 연대의 힘을 입체적으로 보여줬습니다. 이러한 연출은 관객이 단순한 관람을 넘어, 그 시대의 공기와 감정을 직접 체험하게 했습니다.

    캐릭터의 매력과 입체적 인물 구성

    1987의 가장 큰 강점 중 하나는 각 인물의 입체적이고 매력적인 캐릭터 구성에 있습니다. 박처원(김윤석)은 냉철하고 권력에 충실한 경찰 간부로, 최환(하정우)은 원칙과 정의를 지키려는 검사로 그려졌습니다. 한병용(유해진)은 평범한 교도관이지만, 진실을 알리기 위해 용기를 내는 인물로 묘사됐습니다. 연희(김태리)는 허구의 인물이지만, 민주화 운동에 동참한 수많은 청년을 대표했습니다. 각 인물은 자신의 자리에서 고뇌하고, 선택하며, 결국 역사의 흐름을 바꾸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인물의 시선을 통해 한 사건을 다각도로 조명한 점이 영화의 깊이를 더했습니다.

    마무리

    1987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소중함과 그 이면에 숨겨진 수많은 이들의 희생과 용기를 다시금 일깨워줬습니다. 영화는 단순한 역사 재현을 넘어,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깊은 울림과 질문을 던졌습니다. 각 인물의 선택과 연대, 그리고 작은 용기들이 모여 거대한 변화를 이끌어냈다는 메시지는 시대를 초월해 유효했습니다. 뛰어난 연출, 배우들의 열연, 감동적인 OST까지, 1987은 반드시 한 번쯤 봐야 할 한국 영화의 명작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명대사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
    – 박처원(김윤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