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티스토리 뷰

목차



    엑시트 네이버영화
    엑시트 네이버영화
    엑시트 네이버영화
    엑시트 네이버영화
    엑시트 네이버영화엑시트 네이버영화
    엑시트 네이버영화엑시트 네이버영화

    장르 재난, 액션, 코미디
    러닝타임 103분
    개봉일 2019년 7월 31일
    감독 이상근
    주연 조정석(이용남), 임윤아(정의주)
    조연 고두심(용남 어머니), 박인환(용남 아버지), 김지영(용남 누나), 강기영(산악 동아리 선배), 김강현(직장 동료)
    관객수 9,426,355명
    제작비 약 150억 원
    손익분기점 약 230만 명
    수상 경력 청룡영화상 기술상,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인기상 등 수상

    엑시트 소개

    엑시트는 갑작스러운 유독가스 테러라는 재난 상황 속에서 무능력한 백수로 보이던 남자가 자신의 암벽등반 실력을 통해 사람들을 구해내는 극적인 탈출기를 그린 영화였습니다. 웃음과 감동, 긴박감이 절묘하게 어우러진 이 작품은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현실적 주인공과 한국적인 가족 코드를 통해 대중적 흥행에 성공했으며, 재난 영화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 수작이었습니다.

    줄거리

    이용남(조정석)은 대학교 시절 산악 동아리의 에이스였지만 졸업 후 뚜렷한 직장 없이 부모님의 눈치만 보며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어머니의 칠순 잔치에서 과거 동아리 후배였던 정의주(임윤아)와 재회하게 되었고, 그녀는 지금은 호텔의 부점장으로 근무 중이었습니다. 하지만 잔치가 끝난 밤, 정체불명의 유독가스가 도시를 뒤덮기 시작하며 재난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사람들은 옥상으로 대피하지만 구조 헬기는 쉽게 접근하지 못했고, 이용남은 자신의 클라이밍 실력을 되살려 탈출 루트를 개척해나갔습니다. 정의주 역시 함께 고층 빌딩을 넘나들며 구조를 도왔고, 이 둘은 온몸을 던져 가족과 동료들을 지키기 위해 힘을 합쳤습니다. 점점 가스가 도심을 가득 메우고 탈출 시간이 촉박해지면서, 용남은 모든 것을 걸고 마지막 희망을 향한 점프를 감행했습니다. 평범한 청년이 영웅이 되어가는 이 과정은 관객에게 짜릿한 스릴과 감동을 동시에 안겨주었습니다. 940만명의 관객을 동원한 조정석, 임윤아의 찰딱 궁합이 돋보이는 영화였습니다.

    재난과 유머의 절묘한 균형

    엑시트의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재난’이라는 무거운 소재에 ‘코미디’를 자연스럽게 접목했다는 점이었습니다. 일반적인 재난 영화와 달리, 이 영화는 극한 상황 속에서도 웃음을 유도하는 장면들을 곳곳에 배치해 긴장감과 이완의 조화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냈습니다. 조정석 특유의 리듬감 있는 말투와 생동감 넘치는 표정 연기는 관객의 몰입을 높였으며, 윤아 역시 밝고 유쾌한 에너지로 영화의 톤을 안정시켰습니다. 덕분에 관객은 현실적인 공포감 속에서도 극장 안에서 웃음을 터뜨릴 수 있었습니다.

    캐릭터의 현실성과 성장 서사

    주인공 이용남은 영웅이라기보다는 평범한 청년이었습니다. 취업도 실패했고, 가족에게조차 눈치만 보는 인물이었지만, 재난 상황에서는 누구보다 침착하게 판단하고 사람들을 이끌었습니다. 이는 많은 관객들에게 "우리도 필요할 땐 누구든 영웅이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해주었습니다. 정의주는 단순한 조력자가 아닌 독립적이고 능동적인 캐릭터로 묘사되었으며, 전통적인 여성 캐릭터의 틀을 깬 점에서도 인상 깊었습니다. 두 사람의 성장과 호흡은 영화의 중심축이자 감정선을 탄탄하게 만들어주었습니다.

    현대 도시를 활용한 리얼한 액션

    이 영화는 한국 도심 속 고층 건물을 배경으로 한 탈출극을 굉장히 현실감 있게 구현했습니다. CG에 의존하지 않고 실제 클라이밍 장면을 다수 직접 촬영했으며, 드론, 구조 헬기, 철제 구조물 등 한국 도시의 구조적 특성을 적극 반영해 전개의 개연성을 높였습니다. 특히 두 주인공이 옥상 사이를 점프하거나 배관을 타고 이동하는 장면은 관객의 손에 땀을 쥐게 했습니다. 이러한 도시형 재난 액션은 한국 영화계에서 드물게 시도된 구성으로, 새로운 장르적 시도를 높이 평가받았습니다.

    마무리

    엑시트는 장르적 요소를 충실히 살리면서도 대중성과 재미, 메시지를 모두 잡은 영화였습니다. 관객은 웃고, 울고, 감탄하면서도 자신을 돌아보게 되었으며, “평범한 사람도 위기의 순간에 타인을 구할 수 있다”는 교훈은 오래도록 여운을 남겼습니다. 가족, 친구, 사회 속 자신의 역할에 대해 고민하게 만든 이 영화는 단순한 오락 영화를 넘어, 한국형 재난 영화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명대사

    “나중에 줘~! 난 무거워서 오늘 못 들고 갈 것 같아.”
    – 정의주(임윤아)
    반응형